📖TIL(Today I Learned)

TIL 19일 차) 매개변수와 인수, 쉽게 구분하고 이해하기

highcat 2024. 12. 9. 20:37

 

 

 

 매개변수(parameter)와 인수(arguments)는
혼용해서 사용하는 용어이므로 잘 기억해 두자. 


 

 

 


 

이 전 게시글 print 와 ruturn 의 차이 설명과 이어진다.

https://ldg3045.tistory.com/26

 

TIL12일 차) ♻ return과 print의 차이

return과 print는 겉보기에는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, 완전히 다른 역할을 한다.return의 역할함수의 결과값을 반환한다.반환된 값은 다른 변수에 저장하거나, 다른 연산에 사용될 수 있다.함수가 호

ldg3045.tistory.com

 

 

 

 

 

 

매개변수는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,

인수는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입력값을 의미한다.

 

 

 

 

 

1. 함수의 형태는 입력값리턴값의 존재 유무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나뉜다.

 


 

 

1- 1. 일반적인 함수


 

1- 2.입력 값이 없는 함수


 

1- 3. 리턴값이 없는 함수

리턴받을 값을 a 변수에 대입하고 a 값을 출력 해 보면 리턴값이 있는지, 없는지 알 수 있다.
None을 리턴한다는 것은 리턴값이 없다는 것

 


 

 

1- 4.입력값도, 리턴값도 없는 함수


 

2. 매개변수를 지정하여 호출하기


 

3.입력값이 몇 개가 될지 모를 때

 

함수 형태에서 괄호 안의 매개변수 부분이 *매개변수로 바뀌었다.

 

3- 1.여러 개의 입력값을 받는 함수 만들기

 

 


 

4. 키워드 매개변수, kwargs

 


 

5. 함수의 리턴값은 언제나 하나이다

 

return의 또 다른 쓰임새
다른 값을 입력하면 출력 가능함!

 

이 방법은 실제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사용한다고 한다!


 

6. 매개변수에 초깃값 미리 설정하기

 

주의사항
오류 메시지 : SyntaxError: non-default argument follows default argument
‘초깃값이 없는 매개변수(age)는 초깃값이 있는 매개변수(man) 뒤에 사용할 수 없다’ 라는 뜻

 

 

 

 


7. 함수 안에서 선언한 변수의 효력 범위
8. global 명령어 사용하기
9. lambda 예약어

는 내일 이어서 작성해 보겠다.. 

https://youtu.be/ftQZo7XaTOA?si=O4nFaNkmYJi49VxB&t=17091
부터 참고해서 작성할 예정

 

 

 

 

 

 

하루를 정신 없이 함수만 팠더니
작성하려던 원래 분량 보다 더 추가해 정리하였다.